분류 전체보기190 진도항 배후지 개발 ‘석탄재’ 놓고 ‘극한 갈등’ 진실은?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26087 [M현장] 진도항 배후지 개발 ‘석탄재’ 놓고 ‘극한 갈등’ 진실은? ① ① 정작 석탄재는 존재하지 않았다 [M이코노미 최종윤 기자] 우리 국토 최남단에 위치한 전남 진도군민들이 지난 6월19일 ‘청와대’ 앞을 찾았다. 이들은 “진도 팽목항 갯벌에 석탄재 폐기물이 웬 말이냐”며 “군민들의 반대에도 진도군은 석탄재 매립을 강행하려고 한다”고 국민적 관심을 호소했다. 이들이 문제를 제기한 사업은 지난 2014년 시작된 ‘진도항 www.m-economynews.com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26090 불러오는 중입니다... ※ 진도항 배후지 개발.. 2019. 9. 21. 부활하면 '게임체인저' 장안평 중고자동차시장, '재생' 언제쯤? 2016년에 '도시재생'과 관련해 장안평 중고자동차시장을 취재한 적이 있었는데,(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16471) 지난주에 다시 한 번 방문할 기회가 생겼다. 취재 이후에도 문득문득 아 어느 정도나 진행이 됐을까. 관심이 많았는데(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 활성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장안평 자동차산업 종합정보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한다는 메일을 받고 이때다 싶어 가봤다. 장한평역(장안평, 장한평 왜 다르나요?) 에 내려서 첫 인상은 근 3년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호객행위(?) 하시는 판매자 분들도 여전히 계셨고, 거리는 깨끗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나마 2017년 장안평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해 마중물로 들어선 '장안평 자동차산업 종.. 2019. 7. 17. 무라카미 하루키,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친구들이 "하루키" "하루키" 떠들 때는 관심도 갖지 않다가(당시에는 읽을 책들이 너무 많기도 했고...), 한 4~5년전 쯤인가 1Q84를 보게 되면서, 하루키 책을 찾아보게 됐다. 신간은 나오면 바로 사고, 지나간 책들도 하나씩 읽어가는 중이다. 내게 하루키의 책은 뭔가 힐링이 되는 듯하다. 섬세한 감정선, 따뜻한(?) 묘사 이런 것들? 판타지틱하고 기발한 스토리 때문에 빠져 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다 하루키라는 작가 자체도 궁금해졌고, 이 책도 읽게 됐다. 혹시나 '소설쓰기'에 대한 궁금도 조금은 있었다. 책은 제목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그대로 뭔가 소설가에 대한 안내서? 같은 느낌이 있지만, 무라카미 하루키 개인철학이 그대로 담겨 있다. 예를 들면 삶을 대하는 자세, 통찰력, 이런 것들? 꽤 .. 2019. 7. 10. [인터뷰] “답은 현장에 있다”, 김용목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지난 연말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김용목 의장님을 만나 인터뷰했다. 연말 그 누구보다 바쁜 일정에 귀한 일정을 내주셨다. (주)노루페인트 노조위원장 4선, 한국노총 경기중부지역지부 의장, 12대 경기지역본부 사무처장을 역임한 김용목 의장님은 지난해 초 한국노총 제13대 경기지역본부 의장으로 당선됐다. 김 의장님의 인터뷰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정부가 너무 정책으로 노사관계에 개입할 경우 오히려 노사간 협상의 운신의 폭을 좁게 만들 수도 있다”는 말이었다. 그야말로 현장에서 노동운동가로 활동하시면서 느낀 점을 그대로 말씀하신 내용인데, 단순히 그냥 듣고 넘어갈 문제는 아닌 거 같다. 김 의장님의 이 한마디 말로 개인적으로 문제인식을 하고 있다가 고민을 미뤄두었던 게 갑자기 생각났다. 바로 고용노동부의.. 2019. 1. 13. 소득주도성장이 가져다주는 의식적 변화는 그 어떤 혁신보다 소중하다 이번 정부의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 기조에 대해 말이 참 많습니다. 집권 초기부터 정쟁의 중심에 서면서 벌써부터 성공이냐, 실패냐 2분법적 구조로 나뉘고 있죠. 집권초기부터 논쟁에 시달린 정부도 어떻게 보면 조금은 지친 것 같습니다. 지난해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일자리·소득주도성장’이 첫 번째 과제였던 것과 달리 ‘2019 경제정책방향’에서 ‘일자리·소득주도성장’ 관련 내용은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라는 이름으로 세 번째 과제로 밀려났습니다. ‘소득주도성장’,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M이코노미 매거진 1월호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바라봤습니다. 1월호 M이코노미 이상용 수석편집주간님의 권두칼럼의 주요 부분들을 조금 소개하면... “최저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정책은 무.. 2019. 1. 7. 2019 만사형통 다이어리, 좋은 글귀는 덤.... 귀한 선물하나를 받았다. 서울 남산 월명사의 월명스님께서 직접 쓰시고 꾸미신 '만사형통 다이어리'. 회사와 인연이 있으신 스님께서 연말 직접 사무실을 찾아 이렇게 정성스럽게 한 말씀 적어주시며 선물해 주셨다. 다이어리는 얼핏보면 '녹색' 디자인에 다소 투박해 보이지만 안의 내용은 그 어떤 화려한 가죽 다이어리 보다 세련스럽다. 다이어리 안에는 매주 한편씩 월명 스님께서 전하는 희망레터가 숨어 있다. 주제도 다양하다. 모든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고민할 법한 내용에 대한 스님의 메 시지가 숨어 있다. 처음 다이어리를 펼치자... 지금도(?) 고민하고 있는 내용이 나왔다. '진로 결정의 우선순위'라는 제목의 글이다.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면서 스님은 완곡한 표현으로 조언을 하고 계신다. 하지만 결국 어느 선택도 .. 2019. 1. 3. 이전 1 ··· 27 28 29 30 31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