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 “글로벌 로봇시장 ‘골든타임’ 2025년까지, 기회 올 것”

by 최 기자 2024. 4. 29.

취임 3년, 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 본격화 등 로봇산업 난제 해결… 경쟁력 강화 초석 다져


‘로봇’,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에게나 설레이는 단어다. 상상력과 희망, 꿈을 아울렀던 ‘로봇’은 최근 몇년새 인공지능(AI) 등과 함께 현실 속 첨단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안내, 식당 서빙, 조리 등 서비스 영역을 넘어 이제 제조현장은 물론, 실외배송까지 담당하며 우리 삶 속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는 중이다.

 

Photo by Possessed Photography on Unsplash


이런 로봇의 등장이 시대적 변화, 기술 발전 등에 따른 자연스러운 흐름 같지만, 실제 적용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로봇 생태계 구축은 그야말로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창조 수준에 가깝다. 정치·사회적으로도 새롭게 등장한 로봇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수두룩하다.

2020년대 들어 글로벌 시장에서 협동로봇, 서비스로봇 등 기술 경쟁이 시작되고, 국가 차원의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되는 와중 국내도 로봇산업 경쟁력 강화가 시급했다. 묵혀있던 난제도 많았다. 그야말로 국내 로봇산업의 ‘골든타임’ 시기에 접어드는 2021년, 국내 유일 로봇 공공기관으로 로봇산업 진흥 및 육성을 책임지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5대 원장으로 손웅희 원장이 취임했다.

손 원장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로봇팀 팀장, 로봇기술본부장,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소장, 융합기술연구소장 등을 역임한 로봇 분야 전문가로, 로봇 업계의 기대감 속에 취임했다. 로봇산업 육성은 물론. 글로벌 4대 로봇강국으로의 진입이라는 시대적인 막중한 목표도 안았다.

그로부터 3년,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손웅희 원장 취임 이후, 그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로봇 산업의 묵힌 난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갔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로봇법’ 영구법으로 전환 △실외 이동로봇의 보도 통행 허용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 발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 발표 △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이 그것이다. 이에 손 원장은 국내 로봇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크게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은 “취임 후 지속가능한 ‘성장’과 기술적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드라이브를 걸었다”면서, “함께 한 로봇소사이어티의 열정과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 같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말한 손웅희 원장은 로봇산업은 2025년까지 ‘골든타임’이라고 평가했다. 손 원장은 “향후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 독일 그리고 우리나라가 각축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시장과 기술 등 국가별 장점이 뚜렷한 가운데 향후 인공지능(AI) 접목 등으로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우리에게도 기회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로봇 강국 틈바구니 속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이어 손 원장은 “기회는 항상 위기라는 가면을 쓰고 나타난다”면서, “외부적으로는 위기지만 로봇산업에는 기술 이전에 희망, 꿈, 상상력 등 문화가 있다. 우리 로봇소사이어티가 창의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고 신시장 창출 등 끊임없는 도전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본지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을 만나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글로벌 로봇 기술 트렌드 및 시장 전망 등 로봇 산업에 대해 두루 이야기를 들어봤다.

로봇산업이 성장궤도에 오르는 중요한 시기에 원장직을 수행했다. 소회를 밝힌다면?

‘성장’과 ‘전환’이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움직였다.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야 했고, 급변하는 기술적 패러다임에 대응하자는 의미였다. 운도 많이 따라줘 다행히 적지 않은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2023년 언론에서 선정한 로봇산업 10대 뉴스에 우리 진흥원이 직접적으로 했던 사업들이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꼽혔다. 그만큼 업계에는 굵직한 이슈였다. △‘지능형 로봇법’ 영구법으로 전환 △실외 이동로봇의 보도 통행 허용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 발표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 발표 △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이 그것이다.

특히 지능형 로봇법이 영구법으로 전환된 것은 의미가 크다. 지능형 로봇법은 우리 진흥원의 설립법이기도 하고, 로봇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한 모든 정책의 근간인데 그동안 매 10년 단위로 바뀌어야 하는 한시법이었다. 영구법으로 전환시켰기 때문에 이제 로봇산업은 전략 산업으로 영구적으로 간다는 확실한 시그널을 업계에 줄 수 있게 됐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 예타 통과의 의미도 큰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 로봇은 새로운 제품이 나오게 되면 세상에 처음 등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표준이나. 규격, 인증 등이 없다. 그러다보니 실제 산업에서 사용할 때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특히 수출 등에 있어서는 치명적이다. 상대국에서는 인증, 실증, 국가 공인 테스트 등을 요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로봇업계는 이 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을 기다려 왔다. 실제 많은 중소 로봇기업들은 새로운 로봇을 개발한다 해도, 공간 및 비용 문제 등으로 실증을 하지 못해 상용화로 이어갈 수 없는 경우도 많았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로봇 실증 평가 기반시설로 구축된다. 실제 환경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해 로봇 운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수집하고, 로봇의 품질, 안전성, 신뢰성 등을 지원한다. 현재 우리가 새로운 시장을 만들기 위해 샌드박스 규제 특구를 만들어서 여러 사업을 하고 있는데 그것들을 한데 모았다고 이해하면 쉽다. 올해부터 부지 조성이 이뤄지며, 빠르면 2025년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을 시작으로 2028년이면 테스트필드가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가 조성될 것이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수출 등 우리 로봇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로봇분야 전문가로서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를 평가한다면?

기술적으로나 시장의 크기로 보나 아직 글로벌 선두권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다. 총합적 기술은 미국, 제조업용 로봇은 일본, 스마트공장 분야에서는 독일이 있다. 또 우리가 중국보다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고 하지만 시장이 제일 큰 곳은 중국이다. 가격경쟁력은 물론 이제는 기술로도 중국이 약진하고 있다.

우리는 이 나라들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다만 경제적으로 독일이 주춤하고 있고, 일본은 상대적으로 우리보다 AI 등 신기술 접목에서 뒤처지고 있다. 2025년까지는 우리에게 시간이 있다고 본다. 그야말로 ‘골든타임’이다. 우리 로봇소사이어티는 열정이 대단하다. 끊임없는 도전으로 지금에 이르렀다. AI 융합과 창의적 비즈니스를 원동력으로 삼아 나아간다면 로봇산업에서 2030 글로벌 3위 목표는 결코 불가능이 아닌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로봇 시장 및 트렌드를 전망한다면?

AI와 첨단로봇이 함께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CPS(Cyber-Physical System)이다. 결국 사이버는 계속 확장되면서 AI로 이어질 것이다. IoT에서 이제 AoT(AI of Things)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야말로 ‘AI For AII’이다. 모든 것을 위한 AI가 될 것이다. 이런 AI와 첨단로봇이 함께 할 것이다. 실제 첨단로봇에 글로벌 AI 기업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로봇만 국한해서 본다면 지난해 테슬라가 촉발시킨 휴머노이드 열풍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피규어 1’을 보더라도 로봇과 AI 융합은 이제 필연이다. 아직 현장에 바로 투입하기는 힘들겠지만 미래 가치는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본다. 아울러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보면 좋지 않은 경제 상황이지만, 로봇 분야만 국한해서 본다면 큰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 이미 10개에서 12개 정도의 로봇 기업이 올해 상장을 준비중이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유니콘 기업이 계속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글로벌 경쟁에 나서는 국내 로봇업계에 조언한다면?

사실 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 때문에 사용환경에 맞는 적당한 가격에 적합한 기술이면 된다.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가격이 높다면 시장을 잃을 수밖에 없다. 현재 중국제품들이 시장에 많이 도입되고 있는 이유다. 지금 국내 많은 로봇기업들은 A부터 Z까지 모든 기술을 다 만들면서 대응하고 있다.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제 플랫폼으로 승부해야 한다. 기업별로 잘하는 기술에 집중하면서 함께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은 복합적인 재산권 등의 문제 때문에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장의 선택으로 로봇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구축이 돼 나간다면, 결국 플랫폼 비즈니스로 나갈 것이다.

정부는 발표한 첨단로봇 발전전략 및 4차 기본계획 등을 중심으로 꾸준히 지원사업을 펼쳐나갈 것이다. 여기에 함께하면서 로봇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시켜 나가면 좋겠다. 나는 우리 로봇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충분히 잘 해낼 것으로 본다. 로봇산업에는 기술 이전에 문화라는 것이 있다. ‘꿈’, ‘희망’, ‘상상력’, ‘창의성’ 등이 그것이다. 우리 로봇소사이어티가 원래 가지고 있었던 이 같은 문화를 바탕으로 정부와 함께 힘차게 나아갔으면 좋겠다.

 

최종윤 기자 editor@infothe.com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932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손웅희 원장, “글로벌 로봇시장 ‘골든타임’ 2025년까지, 기회 올 것” -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로봇’,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에게나 설레이는 단어다. 상상력과 희망, 꿈을 아울렀던 ‘로봇’은 최근 몇년새 인공지능(AI) 등과 함께 현실 속 첨단 산업

www.industr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