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D프린팅5

뮤토랩스, 세라믹 소재 산업용 3D프린팅 새 장 연다 자체 장비, 소재 100% 개발 완료… 커스터마이징 가능 ‘3D프린팅’,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하면 항상 꼽히는 신기술이다. 그럼에도 그동안은 단순 실험용, 시제품 등 제작 수준에 그치면서 제조업 분야에서는 다소 주목도가 떨어졌다. 하지만 최근 3D프린팅 업계가 소재, 기술력 등을 강화하면서 본격적으로 제조업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아울러 그간 기술력을 앞세운 외산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자취를 감췄던 국내 기업도 다시금 기지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다. 그중에도 해외에서도 난제에 가까웠던 ‘세라믹’ 소재 3D프린팅 기술을 들고 나온 ‘뮤토랩스’(대표 홍순찬)가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사실 ‘뮤토랩스’가 시장에 처음 등장한 것은 지난 2018년이다. 당시 뮤토랩스는 한국세라믹기술원과 협력으로 국내.. 2023. 10. 5.
적층제조 시대 여는 ‘3D프린팅’ 업계, “대체기술 아닌 새로운 생산기술로 봐야” 3D프린팅이 최종 제품의 직접 생산으로까지 활용폭을 넓혀가면서, 차세대 제조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실험용, 시제품 제작 수준을 벗어나 본격적인 적층제조 시대의 문앞에 선 모양새다. 이에 과 가 지난 3월 13일 ‘2023년 제조 산업 발전을 위한 3D프린팅 산업 트렌드 전망 간담회’를 열고 3D프린팅의 최신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폼랩코리아, 뮤토랩스, 캐리마, 스트라타시스, HP, 더블에이엠, TPC메카트로닉스, EOS코리아 등 3D프린팅 분야의 대표적인 8개 기업에서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시장 확장 속 선순환 생태계 구축 국면 돌입 이날 참석기업들은 여전히 국내 제조업으로의 진출에 어려운 현실을 토로하면서도 3D프린팅의.. 2023. 8. 18.
아듀! 2022, ‘정부의 공급기업 옥석 가리기’ 등 스마트팩토리 이모저모 2022년 12월에 쓴 기사, 여전히 진행중 코로나 팬데믹 상황의 지속,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대통령 선거, 경기침체에 따른 장기 불황 등 2022년은 대내외적으로 악재가 유독 많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기업들은 ‘지능화’ ‘디지털화’ ‘유연한 서플라이체인 구축’ 등에 투자를 집중하면서 자동화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2년 스마트팩토리 주요 이슈를 꼽았다. 정부의 공급기업 옥석 가리기? 잔혹한 의자놀이 될 수도... 정부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2023년도 예산을 올해 예산 3,089억원의 3분의 1 수준인 1,057억원으로 대폭 삭감했다. ‘미검증된 공급기업 난립에 따른 부실률 증가’, ‘영수증 돌려막기 등 부작용’ 등을 이유로 들었다. 중기부는 현재 2023년 상반기내 발표를.. 2023. 3. 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DESKTOP METAL사 바인더젯 방식 금속 3D프린터 도입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공정센터가 미국 Desktop Metal사의 바인더젯 방식 금속 3D프린터 Shop System과 Production System P-1을 도입하고, 적층제조 산업 가속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 적층제조 시대 온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은 국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제조 분야 신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연구기관으로 지난 11월 초 Desktop Metal사의 바인더젯 금속 3D프린터 설치를 완료했다. KITECH은 Desktop Metal사의 금속 3D프린팅 장비를 금속부품의 제조 및 다양한 금속 3D프린팅용 신재료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자동차, 전기전자, 중공업, 에너지 등 여러 산업 분야의 중소기업 제조현장에 새로운 금속 적층제조 기술을 접목할 수 있게 됐다.. 2021. 12. 27.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을 위한 개방형 재료 시스템 확장… 적층제조 도입 가속화 성장하는 개방형 재료 시스템에 FDM 추가 폴리머 3D프린팅 선도 기업 스트라타시스가 연간 개방형 재료 라이선스(Open Material License)에 FDM 3D프린터용 개방형 재료를 추가하며 제조 전략을 발전시킨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제조 고객이 재료원을 이중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까다로운 신규 애플리케이션의 적층제조를 지원할 예정이다. 스트라타시스는 이미 SL(Stereolithography)방식의 Neo 광조형 3D프린터와 스트라타시스 오리진 원(Stratasys Origin One) 및 H350 3D프린터(Stratasys H350 3D printers)에도 개방형 재료를 제공하고 있다. 스트라타시스는 올해 자사의 개방형 재료 시스템을 P3, SAF 및 광조형 SL(stereolithogra.. 2021.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