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크코리아2

정체중인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성공적인 한국형 레퍼런스 팩토리 필요” 본격적인 스마트제조의 시작은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시작된다. 생산공정의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수량, 품질, 생산 사이클타임 등 생산데이터는 물론, 온도, 습도 등 공장 내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까지 모두 수집 대상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MES, ERP와 통합되고 인공지능 기술 등이 활용돼 분석되기 시작한다.이러한 데이터 수집에 핵심에는 기술 발전 속도를 높인 센서가 있다. 이미 업종을 막론하고 제어 공정이 시스템화된 제조현장에서 필수가 된 지 오래다. 본격적으로 IO-Link 통신 기술이 적용된 제품군들이 잇따라 출시, 적용되면서 실제 공장 내 모든 기기와 장비를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별도로 모터에 장착된 작은 센서가 이상 진동을 감지해 혹시 모를 고장 등을 예측하기도 하고, 자동화된 물.. 2023. 4. 25.
정보처리‧통신기능 등 탑재 똑똑해진 ‘센서’, 열일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속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되면서 ‘4차 산업혁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지표로도 그대로 드러난다. 지난해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0 4차 산업혁명 지표’에 따르면, ‘데이터’ 산업 전체 시장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8.5% 증가한 15조5,684억원으로 나타났고, 초연결사회로의 진입 현황을 나타내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가입수는 올해 6월 기준 2,607만개로 지난해에 비해 21.6% 증가했다. 인공지능 분야의 매출액도 2,90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에 비해 11.5%가 늘어났다. ‘비대면’ 일상화와 데이터, AI, 5G 등 기술의 동시다발적인 발전으로 경제‧산업‧사회 전반에서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제조현장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부.. 2021.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