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제조혁신5

‘서울형 스마트공장’ 그리는 서울TP, 데이터·AI로 서울 제조업 부흥 이끈다 지역 맞춤형 지원 정책 선도적으로 실행, ‘디지털플랫폼얼라이언스’ 출범도 대한민국의 중심 ‘서울’, 서울은 스마트 인프라와 스마트 서비스, 스마트 시티즌의 삼박자를 모두 갖춘 선도적인 글로벌 스마트시티다. 도심권의 초고속 광통신망,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최첨단 기술이 도시와 행정에 속속 도입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스마트도시 비전을 그리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화려한 도심 속 전통적인 도심 제조업만을 떼어놓고 보면 화려함과는 거리감이 있다. 서울은 우리나라 제1의 대도시로 의류, 인쇄 등 생활관련형 서비스산업 위주로 성장해 왔다. 대도시 특성상 전통적인 공장 수가 많지 않고, 아파트형 공장 등 소규모 제조업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또 지리적 특성상 본사는 서울에 있지만 공장은 지방에 있거.. 2023. 10. 5.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 폐지 입법예고… 산업계 "우리나라만 뒷걸음질" ...세계 각국 ‘제조 경쟁력’ 강화 안간힘 속 ‘역행’ 움직임 세계 각국이 디지털 대전환 흐름 속에 제조 경쟁력 강화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환경속에 급격하게 발달한 엣지컴퓨팅, 클라우드, AI 등 신기술의 제조현장에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그간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했던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의 폐지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 직제개편안을 입법예고해 논란이 일고 있다.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이하 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은 2000년대 들어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 국내 제조업의 위기 속에 범부처 통합 조직으로 지난 2020년 1월 출범했다.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 비전을 목표로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 확산 등.. 2022. 8. 23.
중기부, 2022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 총 3,663억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2022년 총 3,663억원 규모의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지원 집중 사실상 스마트팩토리 기초단계 지원 막차 혼자서는 경쟁력 없다. 컨소시엄 구성해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은 이번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중점 정책으로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28.5% 증가, 품질 42.5% 향상, 원가 15.5% 감소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 이는 기업당 매출 7.4% 향상을 비롯해 고용 2.6명 증가, 산업재해 6.2% 감소 등 기업성장과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올 연말까지 약 2만5,000개의 스마트공장이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2.. 2021. 12. 27.
문재인 정부 5년, 스마트제조혁신 성과 ‘뚜렸’… 중기부 “정책 고도화, 지원 계속” 문재인 정부가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했던 스마트제조혁신의 성과가 구체화되고 있다. 지난 12월 22일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제22차 본회의에서는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을 통한 일자리 개선성과와 향후 추진방향’이 상정돼 의결됐다. 해당 안건에는 스마트제조혁신 성과와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의 정책 고도화 방안이 함께 담겼다. 정부는 스마트제조혁신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확산’을 국정과제로 선정해 중점 추진해 왔다. 동시에 세계 최초 민관 데이터‧인공지능 활용 플랫폼(KAMP)을 구축하고, 제조 데이터 활용 체계 마련을 위해 힘써 왔다. 결과 2020년까지 약 2만개, 올해 10월 기준 2만4700여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 등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2021. 12. 26.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 일자리 평균 2.6명 늘고 산업재해 6.2% 줄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가 추진해온 ‘스마트제조혁신’을 통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이 평균 2.6명의 고용이 증가하고, 산업재해는 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부가 12월 22일 ‘제22차 일자리위원회’에서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을 통한 일자리 개선 성과와 향후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그간 글로벌경제의 디지털전환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 제조혁신’을 추진해, 2021년 기준 2만5,000여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했으며, 제조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제조를 위한 ‘데이터 제조 플랫폼(KAMP)’도 구축했다. 스마트 제조혁신을 통해 스마트공장 보급, 제조데이터 활용체계 구축 등은.. 2021.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