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전망2 아듀! 2022, ‘정부의 공급기업 옥석 가리기’ 등 스마트팩토리 이모저모 2022년 12월에 쓴 기사, 여전히 진행중 코로나 팬데믹 상황의 지속,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대통령 선거, 경기침체에 따른 장기 불황 등 2022년은 대내외적으로 악재가 유독 많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기업들은 ‘지능화’ ‘디지털화’ ‘유연한 서플라이체인 구축’ 등에 투자를 집중하면서 자동화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2년 스마트팩토리 주요 이슈를 꼽았다. 정부의 공급기업 옥석 가리기? 잔혹한 의자놀이 될 수도... 정부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2023년도 예산을 올해 예산 3,089억원의 3분의 1 수준인 1,057억원으로 대폭 삭감했다. ‘미검증된 공급기업 난립에 따른 부실률 증가’, ‘영수증 돌려막기 등 부작용’ 등을 이유로 들었다. 중기부는 현재 2023년 상반기내 발표를.. 2023. 3. 6. MES‧ERP 등 IT솔루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중심으로 부상 지능형 솔루션 필요성 증가, 2023년 전망은 더욱 ‘맑음’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전 산업분야에서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산업자동화 분야에서도 화두다. 데이터화라는 기초단계를 거친 스마트팩토리가 다음 단계로 고도화를 위해 IT기술이 결합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실제 취합된 데이터를 활용해 각종 제어 등 효율화 작업을 위해서는 실시간 생산관리 시스템인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경영자원을 전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등 스마트제조 IT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인더스트리뉴스의 ‘2023년 시장전망’ 조사 결과 MES, ERP 등 스마트제조솔루션은 전 산업군에 걸쳐 구축되고 있.. 2023. 2. 26. 이전 1 다음